25년의 전통 속에 매해 우수한 동문을 배출, 국내 유명 기업의 요직에서 디자인산업을 이끌어 가고 있습니다. 교수 학생 간에는 늘 함께 연구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야외 수업과 현장수업 등을 통해 각자 디자인에 대한 목표를 계획하고 열의를 다집니다. 산업디자인 전공자들은 특히 미래 산업에 가장 장래성있는 영역으로 개개인의 가치를 충족하는 문화와 기술의 융합자 및 차세대 커뮤니케이터로서의 큰 역할과 비중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본 전공에서는 제품디자인, 환경디자인, 컴퓨터그래픽디자인 분야 등의 국제적인 감각을 지닌 학문적 이론체계를 바탕으로 하여 교육을 실시합니다. 아울러 창조적 감성, 과학적 사고능력, 디자인 능력과 인성교육에 최선을 다함으로써 국제화시대에 적합한 젊고 실력 있는 디자이너 양성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Special Features 특장점
'산학협동 제품디자인' 산업현장의 수요에 적합한 창의적 디자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본 학과는 다양한 산학협동 및 특화된 교과목 수업을 통해 실무중심의 제품디자인 교육과 프로젝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제품을 디자인하고 개발하는 프로세스를 추상적/관념적으로 습득하는데 그치지 않고 상품성과 경제성, 양산단계의 문제점까지 고려할 수 있는 전문가적 능력을 배양합니다.
'관학협력 지역개발디자인' 산업디자인학과에서는 지역, 문화, 디자인이 가지는 연계성과 고부가가치적 기능을 인식하여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고품격 지역/문화 디자인 개발을 위해 지역 공공기관과 밀접하고 상시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산업디자인학과 발전 방향
산업디자인학과는 단순한 제품 디자인을 넘어 디지털 기술, UX, 지속가능성, 창업 및 비즈니스, 융합 교육 등의 방향으로 발전해야 합니다. 변화하는 산업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교육 및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미래 디자인 산업에서 더욱 경쟁력 있는 인재를 배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 1.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
- AI 및 데이터 기반 디자인: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디자인 프로세스 혁신 (예: AI 기반 제품 디자인, 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디자인)
- VR/AR 기술 활용: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을 이용한 프로토타이핑, 사용자 경험(UX) 테스트, 제품 시뮬레이션
- 미래 모빌리티 디자인은 지속가능성, 사용자 중심 UX, 디지털 기술 융합, 산업 협력 등을 통해 강화될 수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 자율주행, UAM 등 신기술을 반영한 디자인 혁신이 핵심이며, 기업 협력과 실무 중심 교육을 확대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모빌리티 디자이너를 양성해야 합니다.
- 2. 사용자 경험(UX) 및 서비스 디자인 강화
- 단순한 제품 디자인에서 벗어나 사용자 경험(UX) 및 인터랙션 디자인 중심으로 변화
- 서비스 디자인 접목: 제품뿐만 아니라 서비스 경험까지 고려하는 총체적 디자인
- 인클루시브 디자인(포용적 디자인): 장애인, 노인 등 다양한 사용자를 위한 접근성 고려
- 3. 친환경 및 지속가능한 디자인
-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과 연계된 디자인 전략
- 업사이클링 및 친환경 소재 연구: 지속가능한 자원 활용 및 폐기물 최소화
- 순환 경제 디자인(Circular Design): 제품의 수명 주기 전반에 걸친 지속가능성 고려
- 4. 스타트업 및 창업 지원
- 디자인 기반 스타트업 육성: 제품 디자인뿐만 아니라 브랜딩, 마케팅, 비즈니스 모델 개발까지 연계
- 디자인과 IT, 공학, 경영학 등과의 융합 교육 강화
- 크라우드 펀딩 및 자체 브랜드 론칭을 통한 독립적 창업 지원
- 5. 다학제적 협업과 교육 혁신
- 공학, 경영, 인문학 등과의 협업 강화하여 융합형 디자이너 양성
-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교육 확대: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성 개발
- 산업체 협력 및 실무 중심 교육 강화: 기업과 협력 프로젝트, 인턴십 기회 확대
- 6. 메타버스 및 미래 라이프스타일 반영
- 메타버스 기반의 제품 및 환경 디자인 연구
- 스마트홈, 스마트시티 등 미래 생활 방식과 연계된 디자인 솔루션 개발
Career and Employability 졸업 후 진로 및 진출 현황
- 제조 관련 기업
- 제품, 가구, 완구, 신발, 문구류 및 팬시제품, 액세서리 디자이너
- 유통 관련 기업
- 매장 등의 인테리어, 디스플레이, POP
- 디자인 전문회사
- 제품, 웹, 무대, 그래픽 디자이너
- 게임, 애니메이션
- 캐릭터, 그래픽 디자이너
- 환경 및 건축설계회사
- 환경, 인테리어 디자이너
- 기타 디자인관련기업
- 이벤트 관련 디자인, 모형제작
- 학계 및 연구기관
- 교수, 연구원